사찰의
예절
절이란 우리 마음에 묻어 있는 더러운 때를 씻고 마음을 깨끗이 하는 도량(道場)입니다.
다시 말하면 거룩한 부처님을 모신 신성하고 장엄한 수행의 도량이며, 세심의 도량이고
참회의 도량이자 정진의 도량입니다.
때문에 우리는 밝고 맑은 마음의 자세는 물론 도량에서 지켜야 할 예법도 바르게 알아서
올바른 신앙생활을 해야 합니다.
1) 절하는 법
절은 존경의 표시이며 자기라는 존재를 완전히 상대에게 내 맡긴다는 의미입니다.
아상(我相)과 교만심이 없는 하심(下心)과 겸허의 태도입니다.
① 합장법(合掌法) :
합장은 고대 인도에서 행하던 인사법으로 흐트러진 마음을 한곳에 모아 너와 내가 하나
가 된다는 의미입니다.
두 손을 앞으로 올려 가슴 위에 서로 맞대고 두 손과 열 손가락을 모으되 어긋나거나
벌어지면 안됩니다.
손목을 가슴 한 가운데에 움푹 들어간 곳에 손가락 두 마디 정도 떨어지게 하되 팔목은
거의 직선이 되도록 하고 두팔을 겨드랑이에서 약간 떨어지게 합니다.
손끝은 코끝을 향하도록 자연스럽게 세우며 고개는 반듯하고 공손하게 세웁니다.
위와 같은 자세로 몸을 공손히 굽혀서 반절을 하는 것을 합장예의(合掌禮儀)라고 합니다.
② 절하는 법:
불전에 나아가 먼저 합장한 자세로 반배를 한 다음 오체투지의 큰 절을 세 번 하는데
합장한 자세에서 두 무릎을 조용히 굽히면서 왼손을 가슴에 붙인 듯 했다가 오른손을
이마가 닿을 지점에 왼손과 나란히 짚으면서 이마가 바닥에 닿도록 엎드려야 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무릎을 꿇고 엎드릴 때 오른발이 밑으로 왼발이 위로 가도록 포개야
하며 일어날 때는 반대의 동작으로 합니다.
일어날 때는 올렸던 손을 뒤집고 머리를 듦과 동시에 발을 풀고 왼손을 가슴에 대는 듯
일어서면서 본래 합장의 자세를 취합니다.
이와 같이 세번을 한 다음 반배의 예를 올리면 됩니다.
2) 법당 출입법
일반 불자들은 대웅전 가운데 문이나 계단 출입을 삼가고 반드시 양쪽 문을
이용해야 합니다.
옷은 단정하게 입고 경건한 마음으로 손을 마주 잡은 채 조용히 법당 문 앞까지 가서
합장한 다음 오른손으로 문고리를 잡고 왼손은 받치면서 조용하게 문을 열어야 합니다.
왼쪽으로 들어갈 때는 왼발을 먼저, 오른쪽으로 들어갈 때는 오른발을 먼저 내딛으며,
나올 때에도 이와 같이 나오면 됩니다.
신을 가지런히 벗은 다음 법당에 들어서면 왼쪽으로 돌아서?오른손으로 문고리를 잡고
왼손으로 받치며 문을 조용히 닫고 오른쪽으로 들어섭니다.
이 때 들어가는 문이 왼쪽인가 오른쪽인가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3) 불전 앞에서의 몸가짐
문을 들어가 부처님께 합장으로 반배를 한 다음 문을 닫고 돌아섭니다.
부처님을 향하여 공손히 반배를 한 다음 불단 앞까지 합장의 자세로 조용히 걸어가,
촛불을 켜고 향을 피운 후 한 발 뒤로 물러나서 반배를 올립니다.
자기 자리에 돌아올 때는, 다섯 걸음쯤 물러선 다음 몸을 돌려 마땅한 자리에 와서
예배 드리며, 이때 부처님의 정면으로 돌아 다니는 것은 예의가 아닙니다.
예배할 때는 스님들과 나란히 서서 예배하지 말고 뒤에 떨어져 예배하며 부처님의
정면에 서지 말고, 약간 비켜서며, 다른 사람이 예배할 때는 그 머리맡으로 지나다니지
말아야 합니다.
4) 도량에서의 몸가짐
* 도량 안에서는 집에 돌아갈 때까지 엄숙하고 단정해야 합니다.
* 걸어 다닐 때에는 신발을 끌거나 큰소리 내어서도 안되며 조용히 다녀야 합니다.
* 세속적인 화제로 조용한 도량을 시끄럽게 하거나 소란을 피워서는 안됩니다.
* 스님을 뵙거나 신도, 법우를 만나면 먼저 합장하고 공손히 인사를 해야 합니다.
* 도량은 어느 곳이나 항상 깨끗하게 청소를 해야 합니다.
* 사찰에 있는 물건은 우리 모두의 공용물이므로 서로 아끼고 항상 제자리에 두어야
합니다.
* 공양을 할 때는 다같이 평등하게 나누어 먹어야 하며 남기거나 버리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 자기의 물건은 스스로 잊어버리지 않도록 잘 보관해야 합니다.
* 신발은 언제나 가지런하게 벗어 정해진 자리에 둡니다.
5) 법회에 임하는 자세
법회는 불교 포교의 한 모습이며 부처님의 정법을 배우는 수련의 모임이며 신앙생활
이기 때문에 항상 경건한 마음가짐으로 돈독한 신심을 가지고 법회에 임해야 합니다.
* 법회에는 단정한 몸가짐으로 미리 와서 마음을 가다듬습니다.
* 소지품은 지정된 장소에 가지런히 놓고 법회시간 20분전에 모든 준비를 마치고
조용히 앉아 기다립니다.
* 부처님의 정면은 스님의 자리이므로 피하여 좌우에 앉습니다.
* 법문을 들을 때는 단정한 자세로 허리를 곧게 펴고 들어야 합니다.
* 설법은 부처님을 대신해서 법사님이 설하는 것이니 만큼 경솔한 마음을 내면 법문
듣는 자세가 아닙니다.
* 법회에 임하는 것은 설법만 듣는 것이 아니고 바로 자신의 신행생활이기 때문에
자기가 소속해 있는 법회는 빠지지 않고 참석하는것이 불자의 도리입니다.
6) 스님을 대할 때의 예의
* 스님은 삼보 중에 승보에 속하여 모든 이의 복전(福田)이 되므로 부처님을 대하듯
공경스런 마음으로 귀의해야 합니다.
* 절 안에서나 길거리에서 스님을 만나면 반드시 공경하는 마음으로 합장하고 인사를
드립니다. 혹 모르는 스님이라도 항상 경건한 마음으로 대해야 합니다.
* 스님의 이름은 함부로 부르는 것이 아니며 스님에 관한 일은 말하는 것을 삼가
해야 합니다.
* 스님께 여쭐 것이 있으면 찾아가서 인사를 드린 다음 공손히 물어야 합니다.
법당에서 주의할 점
* 법당에서 나올 때는 반드시 촛불을 끄고 나와야 합니다. 사찰의 법당은 대부분 목조
건물이므로 화제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 촛불은 입으로 불어서 끄는 것이 아니며 손으로 심지를 잡아서 끄거나 아니면 준비된
도구를 사용합니다.
* 향은 향로에 한 개씩만 피우는 것이 좋으며 향이 꽂혀져 있으면 꽂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차를 올릴 때는 다기 소리가 나지 않게 주의하며, 다관(차주전자)을 사용해서 깨끗한
물을 길어와야 합니다.
'부처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힙합으로 배우는 불경 (0) | 2005.11.09 |
---|---|
[스크랩] 동자승 (0) | 2005.09.18 |
[스크랩] 6) 불상과 보살의 종류, 수인과 계인 (0) | 2005.09.09 |
[스크랩] 4) 법 당 (0) | 2005.09.09 |
[스크랩] 심진스님 명상곡 듣기 (0) | 2005.09.01 |